이십 마이너스 일 걔 결국 프리지아 들고 떠났대 다시는 돌아오지 않겠다면서 청색 마이를 날리면서 교문을 넘었대 어른이 되고 싶어서 도서관 구석에서 책 뜯어먹던 것부터 걔가 꾸던 꿈을 생산하고 싶어서 따라다닌 것도 이해 해. 하지만 이렇게까지... 난 걔 등뒤에서 연분홍빛 수국으로 물드는 노을을 봤어 회색 백팩 지퍼 틈으로 삐져나와있는 푸른 잎도 봤지 걔는 말했어 새벽마다 떠오르는 생각들을 넣고 다닌다고. 이해 해, 다 이해한다구. 하지만 너도 알잖아 세상이 얼마나 무서운지. 걔는 그저 꿈을 꾸는 공상과학자일뿐이야. 나는 믿어. 걔는 특별해 어떠한 일이 있어도 스스로 정한 일에는 책임을 지는 아이니까. 그렇다고 너까지 떠나는 건 아니잖아. 아니. 나는 여기서 배운 것보다 걔와 함께했던 시간에서 배운 게 더 많아 인생은 우리.. 2021. 9. 1. 수저 탕 탕 탕 탕 탕 탕 쉼 없이 불꽃이 인다 까마득한 어둠 속에서 터지고 찌그러지고 휘어지면서 침묵의 총대 하나가 서있다 언제부터 이리도 치열한 쇠뭉치였던가 뜨거운 세상 속에 홀로 내던져져 타들어가는 목마름으로 꿈을 갈망하였다 탕 탕 탕 탕 탕 탕 끝없이 반복되는 망치질 지난날의 부끄러움을 벗겨내고 수차례 맑은 물로 얼굴을 씻겨내면 더 이상 마모될 곳 없는 순고한 사나이 세상을 둥글게 바라볼 나이가 돼서야 비로소 밥상 위에 수저 하나가 늘었다 처음으로 누군가의 뱃속에 따듯한 밥 한 술 떠넘기는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다 탕 탕 탕 탕 탕 탕 오늘도 쉼 없이 불꽃이 인다. 2021. 7. 18. 오랜만에 봄이 찾아온다고 한다 말번 감시원의 말발굽 소리가 멀어져 간다 민둥산이 된 세상 잘린 밑동이 간지러워 아이는 밤마다 운다 집집마다 새싹을 피우겠다며 품 속에 흰 천을 마련해두고 퍼런 눈물을 흘리 운다 길 잃은 아이마냥 피붙이를 찾는 어미마냥 검어진 속을 뻘겋게 피우오면 다 함께 숨을 죽이고 숨을 죽이고 숨을 죽여 날이 밝아오기만을 기다린다 3월 1일 동쪽 하늘 위로 힘차게 해가 솟구쳐 오른다. 2021. 7. 18. 김소월 - 가는 길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그냥 갈까 그래도 다시 더 한 번...... 저 산(山)에도 까마귀, 들에 까마귀, 서산(西山)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강(江)물 뒷강(江)물, 흐르는 물은 어서 따라오라고 따라가지고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2021. 7. 8. 김소월 - 개여울 당신은 무슨 일로 그리합니까? 홀로이 개여울에 주저앉아서 파릇한 풀포기가 돋아나오고 잔물은 봄바람에 헤적일 때에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시던 그러한 약속이 있었겠지요 날마다 개여울에 나와 앉아서 하염없이 무엇을 생각합니다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심은 굳이 잊지 말라는 부탁인지요 2021. 7. 8. 김소월 - 비단안개 눈들이 비단안개에 둘리울 때, 그때는 차마 잊지 못할 때러라. 만나서 울던 때도 그런 날이오, 그리워 미친 날도 그런 때러라. 눈들이 비단안개에 둘리울 때, 그때는 홀목숨은 못 살 때러라. 눈 풀리는 가지에 당치마귀로 젊은 계집 목매고 달릴 때러라. 눈들이 비단안개에 둘리울 때, 그때는 종달새 솟을 때러라. 들에랴, 바다에랴, 하늘에서랴, 아지 못할 무엇에 취(醉)할 때러라. 눈들이 비단안개에 둘리울 때, 그때는 차마 잊지 못할 때러라. 첫사랑 있던 때도 그런 날이오 영이별 있던 날도 그런 때러라 2021. 7. 7. 김소월 - 풀따기 우리 집 뒷산에는 풀이 푸르고 숲 사이의 시냇물, 모래 바닥은 파아란 풀 그림자, 떠서 흘러요. 그립은 우리 님은 어디 계신고. 날마다 피어나는 우리 님 생각. 날마다 뒷산에 홀로 앉아서 날마다 풀을 따서 물에 던져요. 흘러가는 시내의 물에 흘러서 내어던진 풀잎은 옅게 떠갈 제 물살이 헤적헤적 품을 헤쳐요. 그립은 우리 님은 어디 계신고. 가여운 이 내 속을 둘 곳 없어서 날마다 풀을 따서 물에 던지고 흘러가는 잎이나 맘해 보아요. 2021. 7. 7. 김소월 - 초혼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어! 허공중(虛空中)에 헤어진 이름이어! 불러도 주인(主人)없는 이름이어!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어! 심중(心中)에 남아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붉은 해는 서산(西山)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어!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2021. 7. 6. 김소월 - 엄마야 누나야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는 금모래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2021. 7. 6. 이전 1 2 3 4 ··· 17 다음